My-ecoLife

My-ecoLife

  • My-ecoLife (87)
    • My-ecoLife (15)
    • Notice-필독!! (8)
    • My-ecoKitchen (22)
    • My-ecoGarden (7)
    • My-ecoMedicine (6)
    • My-ecoVehicle+Energy (5)
    • My-xtraLife (2)
    • Press (12)
    • About (7)
    • Contact (1)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  • About
  • My-ecoLife
  • My-ecoKitchen
  • My-ecoGarden
  • My-ecoMedicine
  • My-ecoVehicle+Energy
  • Press
  • Contact
RSS 피드
로그인
로그아웃 글쓰기 관리

My-ecoLife

컨텐츠 검색

태그

생태부엌 에너지 제로(zero Emission) 냉장고 독일댁의 생태적인 삶 독일 생태 부엌 [독일댁의 생태적인 삶] 냉장고 없이 독일댁의 생태순환 실천과 삶 김미수 살림이야기 독일식 고방 켈러 세상의 모든 부엌 독일 지속가능한 식생활 Salimstory Salimstory 살림이야기 냉장고 없이 살기 About My-ecolife 병조림 독일 김미수 MBC 추석특집 다큐 스페셜

최근글

댓글

공지사항

My-ecoLife(15)

  • 독일 유기농 농민회와 공정무역 상점

    [독일댁의 생태적인 삶] -더 나은 세상을 위한 밑거름이 되어 준(글 전문 보기) 괴팅겐 대학교에서 2014년 발표한 논문 에 따르면 1990년대 소비자들은 환경보호를 이유로, 2000년대에는 건강하고 맛있는 먹을거리를 먹으려고 유기농 제품을 구입했다. 최근의 소비자들은 로컬푸드를 이용하고 동물복지를 향상하며 생산자에게 정당한 가격을 지불하기 위해서 등 다양한 이유로 유기농 제품을 구매하고, 이에 따라 높아지는 가격도 기꺼이 지불하고자 한단다. 한국에서 믿을 수 있는 친환경 먹을거리를 소비하는 흐름에 한살림 30년의 역사와 공로가 담겨 있듯이 독일에는 90여 년 역사의 유기농 농민회와 40여 년 역사의 공정무역 상점이 있다. 글 _ 사진 김미수 유기농지 늘리고 공익에 기여하는 농민회 독일 유기식품산업협회..

    2023.10.07
  • 내 한 몸 깨끗한 게 뭐라고

    [독일댁의 생태적인 삶] 생태적 세제 쓰고 헹굼은 한 번만 독일에서는 일반적으로 세제를 푼 뜨거운 물에 식기를 넣어 씻고 난 뒤 깨끗한 물로 슬쩍 한 번 헹구고 마른행주로 닦는 방법으로 설거지를 한다. 바닥 청소도 비질하거나 청소기를 돌린 뒤 세제 푼 물에 담갔다 꾹 짜낸 걸레로 한 번 닦아 내면 끝일 정도로 간단해 물이 매우 적게 든다. 이러한 청소법이 무엇 때문인지 생각해 보는 한편, 생태적인 친환경 세제들을 소개한다. 글 _ 사진 김미수 마른행주로 닦아 마무리 설거지 한 번 하는 데 세제 푼 물 한 양푼과 그와 비슷한 만큼의 헹굼 물만 있으면 되어서, 2인 가구 설거지는 5L쯤 되는 양의 물만 있으면 충분하다. 독일인 친지들에게 식기를 여러 번 헹구지 않으면 혹시 남아 있을지도 모르는 세제기 때문에..

    2023.10.07
  • 똥오줌은 억울하다

    [독일댁의 생태적인 삶]-화장실만 조금 바꾸면 생태적 순환의 일등 공신(글 전문 보기) 1596 년 유럽에서 처음 고안된 수세식 화장실은 현재 우리 집에 들어오기까지 400년 넘는 시간 동안 발전을 거듭해 오늘날 화장실의 표준이 될 정도로 널리 퍼졌다. 이 획기적인 발명품은 버튼 하나 누르는 것만으로 냄새나는 똥오줌을 눈앞에서 즉시 사라지게 만들어 생활을 깔끔하고 편리하게 해 주었다. 그러나 변기 물부터 대규모 하수처리장 운영까지 쏟아부어야 하는 자원과 에너지가 결코 만만치 않다. 한국수자원공사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으로 가정에서 변기 물 내리는 데에만 1인당 하루 평균 사용하는 수돗물 178L의 1/4인 44.5L를 쓰고 있다. 상황에 따라 일정 기간 먹고 마시지 않아도 살 수 있지만 싸지..

    2017.07.12
  • 내 집 없이 살다 보니

    [독일댁의 생태적인 삶]-합리적인 정책과 배려하는 문화 필요(글 전문 보기) 10여 년간 남편의 일터를 따라 독일 전역을 종횡무진 옮겨 다니며 살았다. 지금 사는 집은 이층집에서 1층, 50㎡(약 15평) 크기에 ‘찬 월세’ 250유로(약 32만 원)와 부대 비용 100유로(약 13만 원)를 집세로 낸다. 내가 경험한 독일의 셋집살이와 공동주거를 소개한다. 글 _ 사진 김미수 집 없는 설움 덜어 주는 월세 정책 독일에는 ‘찬 월세’와 ‘따뜻한 월세’가 있다. 찬 월세란 순수 임대료이고, 여기에 개별 전기료를 제외한 공동 전기료와 쓰레기 처리, 상하수도 이용, 난방 등에 드는 기타 부대 비용을 포함한 총 금액이 따뜻한 월세이다. 부대 비용은 집주인이 연말에 정산한 뒤 모자라면 세입자에게 더 청구하고 남으면..

    2017.01.27
  • 정유년 새해인사

    병신년 한 해는 참 일도 많고 탈도 많은 한 해였습니다. 이곳 독일 할레에는 유월 한여름에 별안간 우박이 쏟아지고, 사막같은 기후로 한창 푸르러야할 때나뭇잎과 들풀이 메말라 노오란 가을풍경을 자아 내기도 했습니다. 또 작년 크리스마스엔 어김없이 휴가를 내어 시댁에 다녀왔습니다.독일에선 크리스마스가 연중 제일 큰 명절 중 하나라 오랜만에 가족 친지들을 만나 뵙고, 북적북적 소란스런 시간을 보내다 왔지요. 멀리 살아 평소엔 자주 보지 못하는 얼굴들 보니 반갑고 좋긴 한데, 크리스마스엔 크리스마스라고 저녁을 한~ 상을 차려 먹고세밑 마지막 날엔 또 새해 맞이 한다고 모여서 먹고 마시고 자정 넘게 보내다 보니... 위도 고생 안 하고 요란 떨지 않고 조용히 해넘이하며 새해를 맞이하는 그런 시간이 문득 그리워졌습..

    2017.01.22
  • 풍성한 한가위, 가족들과 행복한 추석연휴 보내세요!

    예전엔 추석즈음이면 아침 저녁으로 선선하니 가을이 왔다는 것을 피부로 체감할 수 있었습니다. 그런데 올해는 수그러들지 않는 불볕더위로 지났어야할 (여름)철이 아직도 머물고 있네요. 날씨가 꽤나 오락가락 철이 없는 독일에도 요 몇주간 다시 사막을 방불케하는 열기가 지속되고 있습니다.저희집 텃밭엔 5톤이 넘는 빗물 저장탱크가 바닥을 보이고 채워지지 않은지 이미 오래고, 집주변 들판도 메말라 누렇게 뜬지 오래지만, 그래도 그 덕에 올해 우리집 메론은 맛이 제대로 들은 것에 감사하고, 여전히 적응하기 쉽지만은 않은 눅눅하고 우울한 독일 가을날이 오지 않은 것에 안도하기도 합니다. 님들 가시는 귀향 여정이 덥고 고되어도올해 특히 긴 추석 연휴에 위안 삼으시고,그래도 풍성한 한가위 소중한 이들과 행복한 시간 보내다..

    2016.09.13
이전
1 2 3
다음
Tistory Contact My-ecoLife
my-ecolife.net @ All rights reserved

티스토리툴바